[백준] 15686번 치킨 배달 with python
2021. 6. 12. 16:48ㆍ코딩테스트 준비/백준
반응형
문제
크기가 N×N인 도시가 있다. 도시는 1×1크기의 칸으로 나누어져 있다. 도시의 각 칸은 빈 칸, 치킨집, 집 중 하나이다. 도시의 칸은 (r, c)와 같은 형태로 나타내고, r행 c열 또는 위에서부터 r번째 칸, 왼쪽에서부터 c번째 칸을 의미한다. r과 c는 1부터 시작한다.
이 도시에 사는 사람들은 치킨을 매우 좋아한다. 따라서, 사람들은 "치킨 거리"라는 말을 주로 사용한다. 치킨 거리는 집과 가장 가까운 치킨집 사이의 거리이다. 즉, 치킨 거리는 집을 기준으로 정해지며, 각각의 집은 치킨 거리를 가지고 있다. 도시의 치킨 거리는 모든 집의 치킨 거리의 합이다.
임의의 두 칸 (r1, c1)과 (r2, c2) 사이의 거리는 |r1-r2| + |c1-c2|로 구한다.
풀이
1. 주어진 값을 입력받는다
2. 치킨집과 집의 위치 정보를 리스트로 저장한다
3. 저장된 치킨집과 집의 위치 정보를 바탕으로 combination을 통해 M개만큼의 치킨집의 위치를 뽑고
집의 위치와 연산을 통해 최소가 되는 치킨집의 위치들을 알아낸다
# 도시의 치킨 거리는 모든 집의 치킨 거리의 합이다
# 1은 집 2는 치킨집
from itertools import combinations
N,M=map(int,input().split())
city=[]
home,chicken=[],[]
for i in range(0,N):
city.append(list(map(int,input().split())))
# 치킨집과 집의 정보를 저장
for i in range(N):
for j in range(N):
if city[i][j]==1:
home.append([i,j])
elif city[i][j]==2:
chicken.append([i,j])
ans=float('inf') # 정답
# 최소가 되는 치킨집의 위치들을 알아내는 과정
for ch in combinations(chicken,M):
tmp2=0
for h in home:
tmp=float('inf')
for c in ch:
tmp=min(tmp,abs(h[0]-c[0])+abs(h[1]-c[1]))
tmp2+=tmp
ans=min(ans,tmp2)
print(ans)
반응형
'코딩테스트 준비 > 백준'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백준] 18405번 경쟁적 전염 with python (0) | 2021.06.13 |
---|---|
[백준] 14888번 연산자 끼워넣기 with python (0) | 2021.05.07 |
[백준] 12865번 평범한 배낭 with python (0) | 2021.05.03 |
[백준] 12026번 BOJ 거리 구하기 with python (0) | 2021.05.03 |
[백준] 13549번 (숨바꼭질3 with python) (0) | 2021.04.17 |